분류 전체보기 118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과정 간단 정리

다음은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과정을 간단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git init :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을 사용하겠다라고 명령하는 명령어다. 즐겁게 코딩을 작성한 후에 git에 파일을 올리면 되는데 다음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git add : 내가 변경한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한다. git commit -m "project 설명" :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준다. 깃 허브 사이트에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 블로그 만드는거랑 동일 ) git remote add :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git push :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깃허브에 올리기

GIT/GIT 2021.01.29

버전 관리?

들어가기 전에 다음을 생각해보자. 2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려면? 각자 이름의 폴더를 만들고 각자 개발을 하다가 매주 일요일에 메일로 보내서 합친다. 에러가 날 수 있기 떄문에 백업파일을 만들어서 둔다. 상대방이 작업중인 파일을 고치고 싶으면 메일에 따로 적어준다. 코드를 합칠 때 이를 확인해서 내 코드에도 반영한다. 이러한 복잡함을 대신해서 따로 조금씩 작업하다 내가 원할 때 코드를 합칠 수 있고 백업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라고 해서 git이라는 것이 나오게 되었다. Git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분산 관리 시스템이라고 보면된다. 코딩을 할 때 단순히 ctrl + z를 눌러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시점마다 깃발을 꽂고 ( 버전을 만들고 ) 이들 간에 자유롭게 돌아다닐..

GIT/GIT 2021.01.29

Tistory : 오랜만에 들어오다.

Tistory를 오랜만에 들어와봤다. 사용하다가 코드작성이나 여러가지가 불편해서 velog로 옮기게 되었고 옮기다가 정리를 잘 하지 못한 것도 있다. 옮기면서 이곳저곳 손을 댄것들도 많기에 제대로 된 것들도 작성을 하지 못하였고 결국 마무리는 github.io로 페이지 제작을 만들고 삭제하는 것을 반복하다가 notion으로 개인 위키형식으로 배운것들을 정리해두고 하나씩 꺼내보면서 정리한 글을 블로그에 작성하는 형식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그래서 다시 들어와봤는데 생각보다 많이 변화해 있어서 조금 놀랐다. 기분도 전환시킬겸 스킨도 변경해보았고 간혹 들어와서 글올리는 형식으로 만들어봐야겠다. 이렇게 작성하도 다시 velog를 사용할 수도 있다. + github.io + notion으로만 사용할 수도...

🐶/📚 2021.01.27

[TIL] #9. setTimeout, setInterval and requestAnimationFrame

setTimeout, setInterval and requestAnimationFrame 배워두면 인생에 도움이 되는 개념들이다. 먼저 setTimeout은 자바스크립트 개념에서 온 것이 아니다. 브라우저 그리고 nodeJS 개념에서 왔다. 이게 뭘 하는 것이냐? 시간이 조금 흐른후에 함수를 실행하는것을 해준다. 자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setTimeout은 시간이 지난 후에 기능을 message queue에 붙여준다. 함수를 자동으로 부르는 것이 아니라 함수를 message queue에 넣고 stack이 비게되면 자바스크립트가 실행을 하는 개념인것이다. 바로 이뤄질수도 있고 자바스크립트가 바쁘면 천천히 할수도 있다. 그래서 time specific 하다고 볼 수 없다. 아래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작성을 ..

JavaScript/TIL 2020.08.17

[TIL] #8. Message Queue and Event Loop

Message Queue and Event Loop 시작하기전에 일단 blocking 그리고 none blocking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none blocking이며, 파이썬은 blocking언어이다. 만약에 자바스크립트가 blocking 언어였다면, 웹사이트에 input이 있고, 유저가 이를 사용할 것인데 유저가 input에 이름을 쓸 때 유저는 타이핑을 할 수 가 없을 것이다. 그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는 API fetch를 핸들링하느라 바쁘기 때문일 것이다. 그게 blocking이며 자바스크립트는 한번에 하나밖에 할수없다. user, input, event, fetch 등 자바스크립트가 blocking 이였으면 웹사이트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것이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도 다음과 ..

JavaScript/TIL 2020.08.17

[TIL] #7. IIFE

IIFE ( Immediately-Invoked Function Expressions ) 함수이고, 자기 자신을 일으키는 함수이다. 아주 심플하다. const secretUsers = ["Nicolas", "Lynn", "Stevey", "Autumn"]; console.log(secretUsers); 이렇게 하면 user array가있다는 걸 알 수있다. 하지만 어쩔때는 사람들에게 자바스크립트를 주고싶지만 너의 variable에 영향을 끼치는건 원하지 않을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비밀 모드로 되었다고 보면 되고 위에 작성한 2줄을 자기 자신을 부르는 함수 안에 넣으면 된다. 그걸 IIFE라고 부른다. (function(){ const secretUsers = ["Nicolas", "Lynn", "St..

JavaScript/TIL 2020.08.17

[TIL] #6. Expression vs. Statement

Expression vs Statement 이걸 이해하면 코드를 읽을때 도움이 많이 된다. 코드를 많이 읽든, 안읽든 도움이 될 것이다. Expression 은 무엇인가? 이건 value 를 리턴하는 무언가를 뜻한다. 뭔가 value가 되는것. 5 + 1 // 6 바로 이것은 expression 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이걸 가져다가 6이라고 리턴할 것이다. function add(a,b){ return a + b; // return 없이 a+b 일 경우 undefined } const how = add(5,6); 바로 이것, 이것이 expression이 될것이다. 그 이유는 value를 return 하기 때문이다. return 하는 곳에서 return이 없으면 이건 undefined 그것 역시 value이..

JavaScript/TIL 2020.08.17

[TIL] #5. Scope

Scope Scope를 모르면 꽤 골치 아플 수 있다. 그러다 보니 관련 글, 영상들도 꽤나 많다. Scope는 한마디로 말하면 "너의 variable 이 존재하는가 아닌가" 그게 Scope다. 여기에서 variable이 정의가 되었나, 아닌가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if(ture){ const hello ="hi"; } console.log(hello) // ReferenceError : hello is not defined 여기선 hello는 정의가 되지 않았다. 그게 바로 scope이다. hello는 {} 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if(ture){ const hello ="hi"; console.log(hello) } console.log(hello) 그래서 안에다가 넣어줘야 하는 것이고 이렇..

JavaScript/TIL 2020.08.17

[TIL] #4. TYPE OF

Typeof what is typeof? 자바스크립트는 항상 type을 체크해야 한다. ( boolean, string, number 등) console.log(typeof "11121221") // string console.log(typeof true) // boolean console.log(typeof function(){}) // function console.log(거의 모든 Primitive에서 다 작동을 한다) // Number,boolean,string,undefined.. 하지만 여기에 WTF 버그가 있다. console.log(typeof null) // object 이 버그는 브랜든 그리고 더글라스( 자바스크립트를 만든 개발자)에 의하여 논의가 있었다. Null -> Object 대..

JavaScript/TIL 2020.08.17

[TIL] #3. Type Coercion

Type Coercion 이상해 보이지만 사실 자바스크립트가 잘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onsole.log(4+ "hello"); // 4hello console.log(4+4 + "hello"); // 8hello console.log("" === true ); // false; console.log(1 === true); // true; console.log(66+true); // 67 이것이 자바스크립트의 특성이고, 잘 알아두면 인생의 도움이 될 수 있다. 모르면 나중에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을 Type Coercion 즉, 자바스크립트가 값을 변환시킨다는 뜻이다. 강제적으로 말이다. console.log(66 + true); // 67 console.log(66 - false); ..

JavaScript/TIL 2020.08.16